목록전체 글 (117)
나의 소소한 일상

[줄거리 및 간단 감상] 올리비아 뉴먼 감독의 가재가 노래하는 곳을 보았습니다. 습지에 사는 카야라는 소녀의 삶을 조명하는 해당 영화의 자연 풍경은 경이롭고도 아름다워서 마치 한 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리고 결말에 이르러 늪지 소녀에서 한 인간으로서 눈을 감는 장면은 너무나도 인상적이라 여운이 길게 남았습니다. 영화를 보면서 생각해 볼만한 점이라면 아마 결말에 이르러 주인공 카야는 왜 그러한 선택을 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요 그래서 간략한 줄거리와 함께 결말에 대해 조금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아래는 가재가 노래하는 곳의 줄거리와 결말에 대한 내용으로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화 가재가 노래하는 곳은 체이스라는 인물의 죽음으로 시작합니다. 그는 잘생기고 인기 ..

1. 개요 도나 바르바 이게라의 마지막 이야기 전달자를 읽었습니다. 해당 소설은 뉴베리 100주년을 기념하는 2022 뉴베리 대상 수상작으로 SF 기반에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을 가진 이야기입니다. 핼리 혜성의 충돌로 지구가 멸망할 위기에 처하자 인간들은 새로운 터전을 찾아 우주로 피난을 나섭니다. 이와 함께 새롭게 등장한 콜렉티브라는 지배집단은 인간들의 기억을 지우고 그들을 위해 살아가도록 세뇌시킵니다. 이렇게 모두가 기억을 잃고 콜렉티브에게 지배당하는 세상에서 주인공 페트라는 기억을 가진 유일한 인간으로 남게 됩니다. 그리고 작가는 주인공 페트라의 여정을 통해 우리에게 묻습니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콜렉티브가 지배하는 획일화되고 비인간적이고 부조리한 세상 속에서 주인공 페트라는 이제는 과거 속으로 사라진..

개요 마녀와 사냥개는 카미츠키 레이니의 라이트노벨 소설로 장르는 다크 판타지입니다. 일러스트는 LAM이라는 분이 맡았는데 표지 일러스트가 아주 일품입니다. 마녀라는 단어에서 보듯 배경은 유럽의 중세시대를 연상케 하는데요 장르가 판타지인만큼 독자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전 인기였던 왕좌의 게임이 생각나는 분위기로 아마 모티브로 삼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정말 어둡고 어떨 때는 꿈과 희망도 없어 보이는 암울한 분위기의 소설로, 처음 주인공 급으로 생각되는 사람들이 갈려 나갈 때는 꽤나 놀랐습니다. 정통파에 가까운 판타지 소설인데 아래는 마녀와 사냥개의 세계관과 줄거리입니다. 세계관 위의 지도가 마녀와 사냥개의 세계도입니다. 캠퍼스펠로우는 농장이나 대장간 일, 무역을 통해 생계를 꾸려가는 작은 나라입니..

[문학소녀 시리즈 개요] 와 과거 정말 정말 재미있게 보았던 문학소녀 시리즈가 애장판으로 다시 나왔습니다! 문학소녀 시리즈에 대해 조금 설명을 하자면, 문학소녀 시리즈는 노무라 미즈키가 쓴 라이트 노벨 소설로 「문학소녀와~OOOO」라는 제목 시리즈로 출판되었던 소설들을 말합니다. 본편 8권, 단편집인 문학소녀와 사랑하는 삽화집 4권, 외전으로 견습생 시리즈 3권과 반숙작가와 편집자를 더해 4권으로 총 16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번 문학소녀 애장판에서 본편이 Part 1, 견습생 시리즈가 Part 2, 외전이 Part 3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시리즈는 작가 노무라 미즈키의 가장 성공한 소설로 일러스트를 그렸던 타케오카 미호 역시 함께 유명해져 문학소녀 콤비로 불릴 만큼 성공을 거두었던 소설이었죠..

아니 에르노 대표작 부끄러움에 대한 간단 해설 2022 노벨 문학상 수상작가 아니 에르노의 을 읽었습니다. 해당 소설은 직전에 읽었던 저자의 또 다른 작품인 와 핵심을 공유하는데 바로 계층 차이입니다. 남자의 자리에서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에게 은근한 차별과 멸시의 시선을 보내며, 하위 계층인 아버지는 이러한 언어적 문화적 차별에 열등감과 부끄러움을 느끼지만 계속하여 자신의 자리를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화자가 이방인적 관점으로 아버지의 삶을 바라볼 수 있었던 것은 그녀가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이동한 인물이라는 점과 그 근본에는 학교 교육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읽게 된 은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조금 더 사적으로 그리고 심층적으로 들어가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아니 에르노 남..

아니 에르노 남자의 자리 해석 2022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인 아니 에르노의 남자의 자리를 읽었습니다. 남자의 자리는 아니 에르노의 자전적 소설로 아버지의 별세 후 그를 보내고 돌아오는 기차에서 그의 삶에 대해 모든 것을 설명해야 한다는 일종의 의무감으로 그의 삶에 대한 객관적인 표적들을 통해 아버지의 삶을 담담하게 기술하는 소설입니다. 정말 깊이 있는 소설로, 담담한 문체를 통해 아버지의 삶을 기술하는 짧은 단편이지만 내용은 쉽지 않은 바 아래는 이에 대한 해석을 적은 글로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의 핵심은 위 구절입니다. 위의 구절에서 주인공은 "계층 간의 거리"와 "이름 없는 특별한 거리"에 대해 말하고 싶다고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이별한 사랑"과 같다고 표현하고 있죠. 동시에 ..

상실의 시대 해석 - 와타나베와 나오코를 중심으로 상실의 시대(원제: 노르웨이의 숲)를 처음 읽었던 때는 학생 때이므로 까마득하게 오래전입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도 이 소설의 이미지는 잊혀지지 않는 묘한 아우라가 있습니다. 혹자는 극단적으로 센티멘탈적이라며 혹평하기도 하지만 적어도 저에게 있어서 이 소설은 문학이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해 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깨달음을 주었던 소설입니다. 그리하여 최근 상실의 시대(노르웨이의 숲)를 다시 읽게 된 바, 와타나베와 나오코를 중심으로 이 소설이 어떤 구조와 의미로 다가오는지에 대한 해석을 조금 적어볼까 합니다. 아래는 상실의 시대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으로 스포일러를 포함합니다. 주인공 와타나베가 그의 연인 나오코를 잃고 슬픔에 방황하며 독백..

블랙스완 영화 해석 - 완벽을 향하여 나탈리 포트만 주연의 영화 블랙스완을 보았습니다. 발레를 모티브로 한 이 영화는 극한의 심리 스릴러임과 동시에 보는 사람을 압도하는 예술 영화였는데요. 완벽을 향해 달려가는 주인공 니나의 강박, 분열을 동반한 기괴하고 광기 어린 장면들은 정말 소름이 돋을 정도였습니다. 특히 결말에 주인공 니니가 흑조를 연기하는 장면은 말로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압도적이었는데요 정말 대단한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블랙스완 영화에 관해서는 여러 해석이 있지만 저는 역시 완벽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춰보고 싶습니다. "I was perfect" "전 완벽했어요"라며 니나가 모든 연기를 마치고 내뱉은 이 마지막 말이 영화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가 아닐까 합니다. 주인공 니나는 발레리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