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17)
나의 소소한 일상

웹소설 관련 글을 쓰게 될 줄은 생각도 못했습니다. 웹툰에서도 이미 유명한 이 소설은 웹소설 상위에 위치해 있어 흥미를 가지고 읽게 되었는데요, 정말 재밌게 잘 봤습니다. 특히 이 소설이 마음에 드는 것은 이 소설의 소재가 매우 흥미롭기 때문입니다. 이 소설은 일단 시작은 소설 내의 주인공인 김독자가 애독하던 소설인 멸살법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는 세 가지 방법. 이하 멸살법)의 세계가 현실에 덧씌워져서 시작합니다. 주인공 김독자는 간절히 바라왔습니다. 자신이 사랑하는 소설 멸살법 주인공인 유중혁이 행복해지기를. 그리고 항상 생각했습니다 이 소설의 에필로그는 어떤 것일까. 그런데 것이 자신의 앞에 현실로 나타나다니. 그리하여 이 소설은 주인공 김독자가 멸살법의 에필로그를 향해 나아가는 이야기입니다. 이..

[법(法) 앞에서 - 구원은 있는가] 카프카의 변신과 다리에 관한 글을 쓰다가 다른 단편이라도 조금 더 연결 지어서 써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쩌면 연속해서 카프카의 중단편에 대해서 시리즈처럼 쓸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이번에는 큰 틀만 간략하게 써볼까 합니다. 다리와 변신에서 결국 강요받는 삶과 죽음으로 끝을 맺었습니다. 그렇다면 그다음은 어떤 생각을 할 수 있을까요? 강요받는 삶들이 이렇게 비참하게 끝났다면 그럼 탈출구는 있는가라는 의문이 들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법(法) 앞에서」라는 소설이 그에 대한 카프카의 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에 대한 해석은 굉장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이는 「법 앞에서」라는 소설은 굉장히 난해기 때문에 더 그렇습니다. 처음 읽으면 "이게 뭐지...?"라..

[프란츠 카프카 - 카프카의 다리로 읽는 변신] 거의 10년 만입니다. 책을 다시 읽기 시작한 게. 요즘 이런저런 장르 가리지 않고 읽고 있는데, 문득 아무 이유 없이 카프카 생각이 나 카프카 책을 다시 읽었습니다. 카프카는 제가 한창 책을 읽을 때 가장 자주 읽는 작가였는데 몽환의 숲에 갇혀 있는 느낌, 미로를 헤매는 그 느낌이 정말 너무도 좋았습니다. 사실 카프카라고 하면 변신이 가장 유명하지만 저는 중·장 편 소설보다는 단편을 더 좋아했습니다. 단편을 읽다 보면 전율에 휩싸일 때가 있습니다. 카프카의 진정한 묘미는 단편에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법 앞에서, 다리, 작은 우화, 묵은 책장 등등 카프카의 작품들 중에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다리입니다. 이 짧은 한 편의 단편은 뭐랄까 제가 느끼기에는 카프..
[카프카에 대하여] 카프카의 소설을 읽으면 몽환의 숲에 있는 느낌이다. 그리고 마치 미로에 갇힌 것 같이 빠져나올 수가 없다. 이 몽상가는 고작 몇 줄 되지도 않는 글로 사람을 바보로 만든다. 카프카의 소설은 언뜻 보기에는 난해하다. 책을 읽으면 몽환의 숲에 있는 느낌이며, 그렇기 때문에 더욱 갈피를 잡을 수 없는 미로에 놓여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이 미로에는 출구가 있다. 그러나 몽환적 느낌과 함께 미로 속에서 그 길을 헤매게 만드는 것이 카프카의 탁월한 능력이다. 우선 카프카의 소설은 소설 그 자체만을 놓고 보면 그 무엇도 추구하지 않는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무언가를 추구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금기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허무의 길이기도 하다. 이것이 카프카의 본질이며 이 본질을..
호리 다쓰오의 를 처음 읽은 건 아마 작년 3월쯤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몇 번이고 읽었는지 모른다. 특히 릴케의 레퀴엠의 마지막 구절.... 내가 읽은 지 1년이 더 지난 지금에서야 이렇게 리뷰를 쓰는 것은 처음 읽었던 그 당시에는 무어라 말할 수 없던 그 이미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손에 잡힐 듯한 이미지로 떠오르기 때문이다. 다쓰오의 의 줄거리는 단순하게 요약할 수 있다. 실제 자신의 일화를 바탕으로 쓴 소설로 자신의 약혼녀 아야노가 병으로 인한 죽음을 소재로 다루는 내용이다. 즉 병으로 죽어가는 약혼녀를 옆에서 보살피면서 그리고 그 약혼녀의 죽음에 대한 체험, 인생에 대한 깨달음에 대해서 쓴 소설이다. 에서 주인공이 약혼녀인 아야코를 잃어가는 과정은 어떠한 책의 한 구절을 생각나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