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영화 이야기 (27)
나의 소소한 일상

[개요] 토니 케이 감독의 아메리칸 히스토리 X를 보았습니다. 에드워드 노튼 주역의 해당 영화는 아주 오래전에 한번 본 적이 있는데요 이번에 기회가 되어 다시 한번 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영화를 다시 감상하면서 그때와 지금의 우리의 삶이 얼마나 더 달라졌는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됩니다. 아시다시피 아메리칸 히스토리 X는 미국의 인종 갈등과 차별을 주제로 한 영화입니다. 어떤 측면에서 보면 매우 극단적인 내용과 그 메시지에 충격을 받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극단적인 부분 역시 우리의 어두운 역사의 한 부분임을 인정함과 동시에 어쩌면 우리의 미래에 보편적으로 일어날 비극이 될 수 있음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는 영화이죠. 에드워드 노튼의 소름 돋는 연기가 정말 일품인 영화로 편견과 차별이 우리를 얼마나 불행하..

[줄거리 및 간단 감상] 올리비아 뉴먼 감독의 가재가 노래하는 곳을 보았습니다. 습지에 사는 카야라는 소녀의 삶을 조명하는 해당 영화의 자연 풍경은 경이롭고도 아름다워서 마치 한 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리고 결말에 이르러 늪지 소녀에서 한 인간으로서 눈을 감는 장면은 너무나도 인상적이라 여운이 길게 남았습니다. 영화를 보면서 생각해 볼만한 점이라면 아마 결말에 이르러 주인공 카야는 왜 그러한 선택을 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요 그래서 간략한 줄거리와 함께 결말에 대해 조금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아래는 가재가 노래하는 곳의 줄거리와 결말에 대한 내용으로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화 가재가 노래하는 곳은 체이스라는 인물의 죽음으로 시작합니다. 그는 잘생기고 인기 ..

블랙스완 영화 해석 - 완벽을 향하여 나탈리 포트만 주연의 영화 블랙스완을 보았습니다. 발레를 모티브로 한 이 영화는 극한의 심리 스릴러임과 동시에 보는 사람을 압도하는 예술 영화였는데요. 완벽을 향해 달려가는 주인공 니나의 강박, 분열을 동반한 기괴하고 광기 어린 장면들은 정말 소름이 돋을 정도였습니다. 특히 결말에 주인공 니니가 흑조를 연기하는 장면은 말로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압도적이었는데요 정말 대단한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블랙스완 영화에 관해서는 여러 해석이 있지만 저는 역시 완벽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춰보고 싶습니다. "I was perfect" "전 완벽했어요"라며 니나가 모든 연기를 마치고 내뱉은 이 마지막 말이 영화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가 아닐까 합니다. 주인공 니나는 발레리나입..

[인셉션 결말에 대한 해석 – 실존의 기록] 옛날 영화지만 최근 정말 인상 깊게 다시 보게 된 영화 인셉션. 꿈이라는 요소를 이용한 SF 영화인데 정말 재미있게 보았으며 영화의 창의성과 완성도를 보면 극찬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인셉션을 보면서 놀라웠던 점은 이것은 단순한 SF 혹은 액션 영화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생에 대한 실존적 이미지를 가지는데 하나의 문학 작품을 보는 것 같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인셉션 결말에 대해 상실의 시대를 일부 예로 들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아래는 인셉션 결말과 줄거리에 대한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코브와 맬에 대하여 feat 상실의 시대 우선 인셉션 주인공 코브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게 차지하는 것은 아내인 맬의 상실입니다. 과거 코브와 ..

[트루먼쇼 줄거리] 피터 위어 감독, 짐 캐리 주연의 트루먼쇼를 보았습니다. 정말 오래전에 나온 영화지만 와 정말 놀라웠습니다. 지금 보아도 위화감 없을 정도로 현대적이고 생각할 것들이 많은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인상 깊었던 영화였기 때문에 가볍게 트루먼쇼의 결말을 포함한 줄거리와 해석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아래의 줄거리는 결말과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화의 주인공 트루먼은 씨헤이븐이라는 섬에 살고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쭉 씨헤이븐 에서만 살아온 주인공은 단 한 번도 이 섬을 벗어난 적이 없습니다. 그의 삶은 평온하고 안락해 보입니다. 단 한 가지, 그의 삶이 모두 가짜라는 진실을 제외한다면 말이죠. 트루먼쇼의 첫 장면에서 주인공은 트루먼쇼라는 프로그램에 나오는 주인공이며..

[러브 데스 로봇 히바로 줄거리와 해석] 최근 넷플릭스에서 러브 데스 로봇이라는 영화를 보았는데 특히 히바로 편이 강렬하게 기억에 남아 이에 대해 조금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줄거리 이후에는 개인적 해석 역시 덧붙였습니다. 우선 아래는 간략한 러브 데스 로봇 히바로 줄거리입니다. 히바로 줄거리 어느 한 숲에 기사 기사들이 행진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그 숲의 나무에는 특이한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뭔가 범상치 않은 숲이라는 것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어느 한 호수에 다다르자 멈추는데 이때 소리가 들리지 않는 주인공은 우연히 호수 안에서 금 조각을 하나 발견하게 됩니다. 깜짝 놀라서 진짜인지 확인해보는 주인공. 그리고 그에 맞춰 호수 안에 있던 어느 한 존재가 모습을 드러내고 그녀는 기사와 성직자들을 향해 ..

[그을린 사랑 개요] 드니 빌뇌브 감독의 그을린 사랑이라는 영화를 보았는데, 감상 후 뭐랄까... 정말 소름 돋으면서도 애잔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영화는 레바논 내전을 배경으로 그 시대의 불행에 휩쓸린 비극적인 삶을 살았던 나왈 마르완이라는 인물의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 탐색하고, 그녀의 과거를 통해 그 시절의 비극의 전말을 밝힙니다. 동시에 이는 연속성을 가지고 현재와도 맞닿아 있다는 것을 절실히 각인시켜주는 영화였습니다. 이러한 연속성은 주인공 나왈 마르완의 별세 이후 그녀의 쌍둥이 남매가 그녀의 유언에 따라 그녀의 과거를 탐색하고 이를 이해하는 과정이 수반됩니다. 이 과정은 어머니의 직상 상사인 장 르벨이 어머니 나왈 마르완의 유언을 공적으로 알리면서 시작되죠. 공적으로 알린다는 것에는 영화를 만든 ..

[팬텀 스레드 줄거리 및 결말 해석] 폴 토마스 앤더슨 감독의 영화 팬텀 스레드를 보았습니다. 의상 디자이너의 이야기라는 신선한 소재와 팬텀 스레드, 즉 보이지 않는 실이라는 소재를 이용하여 사랑의 일면을 날카롭게 표현한 것에 정말 감탄했습니다. 특히 주목할만한 점은 이 사랑이라는 것은 유익한 것이 아닌, 사람을 좀먹는 것이지만 거부할 수 없는, 망자의 이미지와 절망의 속성을 띠고 있음과 동시에 필연적으로 삶에 내재하는 요소임을 영화는 치밀하게 말해줍니다. 제목에 팬텀(Phantom), 즉 유령 혹은 혼령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것은 이와 같은 속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영화 팬텀 스레드는 흘러가는 이야기와 그 구성이 하나의 문학 작품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팬텀 스레드 줄거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