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파워 오브 도그 개요 및 줄거리]

최근 좋은 평가를 받는 영화 파워 오브 도그를 보았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정말 예사롭지 않은 영화로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상징적인 비유와 은유 그리고 캐릭터성의 확고함과 그 안에 내재된 속성 등이 영화를 굉장히 높은 의식으로 이끌어주는 느낌입니다.

 

서부극이지만 사실상 서부시대를 배경으로 한 일종의 심리극에 가까우며 카우보이들의 우정과 사랑, 서부적 액션신은 존재하지 않고 인간의 본성에 대한 하나의 고찰에 가까운 영화입니다.

 

한 줄 감상평을 말하자면 냉혹하고 유약하면서 은밀하고 서늘한 영화였습니다.

 

해당 글은 파워 오브 도그 결말과 그 과정에 대한 해석을 덧붙인 감상문이며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선 영화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필(왼쪽)과 동생 조지(오른쪽)

영화는 1925 몬테나의 서부극을 배경으로 합니다. 주인공 필과 동생 조지는 목장을 운영하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필은 외향적이고 강력한 카리스마로 농장을 운영하는 사람들을 이끄는 리더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반면 그의 동생 조지는 목장을 운영하는 사람답지 않게 차분하고 신사적인 성격입니다.

 

조지와 로즈 그리고 피터

어느 날 목장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로즈의 가게에서 식사를 하게 됩니다. 로즈는 남편을 여의고 현재 아들 피터와 단 둘이 식당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아들 피터는 마르고 큰 키에 연약해 보이는 외향을 가졌는데 이는 서부극의 등장인물들과는 굉장히 대치되는 모습입니다.

 

로즈의 가게에서 식사를 하던 목장 사람들은 이런 피터를 조롱합니다. 하지만 필의 동생 조지는 로즈에게 반해버리고 두 사람은 형 모르게 결혼합니다. 이 소식을 접한 형은 충격을 받고 로즈를 정신적으로 압박하며 괴롭힙니다.

 

일례로 휘파람을 불며 그녀를 심리적으로 압박하기도 하고 로즈가 피아노 연습을 하자 자신이 기타를 따라 연주하여 연습을 방해하고 주지사 부부 앞에서 제대로 피아노를 연주하지 못하자 그녀를 조롱합니다. 이렇게 로즈는 심적으로 점점 피폐해져 갑니다.

 

한편 그의 아들 피터는 이러한 어머니를 보는 것에 마음 아파합니다. 피터는 목장에서 조롱을 받지만 그럼에도 필과 친분이 싹트기 시작합니다. 그리하여 그와 말을 타고 나가기도 하면서 두 사람은 가까워지고 피터는 필의 비밀에 대해 알게 됩니다.

 

그리고 영화는 반전적인 결말로 가게 되는데...

 

[파워 오브 도그 결말 해석]

1. 필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와 그에 대한 상징적 장면들

영화에서 목장주인 주인공은 거친 카우보이의 표상으로, 언제나 강인함을 증명하지 않으면 안 되는 무리의 리더입니다. 때문에 영화에서 그는 항상 거칠고 잔혹한 인물로 묘사됩니다. 늑대를 연상시키는 듯한 그의 차가운 눈을 보며 관객들은 그가 진정한 리더의 표상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주인공의 내면은 이러한 것과는 굉장히 동떨어져 있습니다. 그는 이성을 사랑하지 않는 내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영화의 여러 장면에 걸쳐 나오고 있습니다.

 

위의 장면은 소의 중요한 곳을 장갑도 차지 않고 맨손으로 떼어 내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은 사실은 스스로가 자신의 남성다움을 제거하는 장면을 투영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카리스마 넘치는 것 같이 보이는 이 장면은 아이러니하게도 본인 내적으로는 남자다움을 제거했다는 것 혹은 제거당했다는 것의 은유적 표현입니다.

 

다른 카우보이들이 물놀이를 즐길 때 주인공은 그 장면을 보면서 함께 하지 않고 지나칩니다. 그리고 홀로 인적이 없는 숲으로 들어가 그곳에서 그가 존경하던 카우보이 브롱코의 수건을 가지고 의식을 치르는 듯한 장면이 나오는데, 신성하면서도 관능적인 듯한 느낌을 줍니다.

 

브롱코는 주인공이 가장 존경한다고 말하는 카우보이며 동시에 스승이었습니다. 필은 브롱코에게 말 타는 법을 배웠으며, 위기에서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은인이기도 합니다. 주인공은 세상을 떠난 브롱코를 아직도 잊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브롱코의 대한 그의 감정은 그가 숲에서 행하는 의식에서 드러나듯, 그의 내밀한 감정 속에는 여자를 좋아하는 것이 아닌 브롱코를 사랑하는... 전혀 다른 지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드러납니다.

 

그는 이 장면을 로즈의 아들 피터에게 들켜버립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후 둘의 거리는 가까워집니다. 사실 피터는 필이 다른 내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필은 우연히 낡은 상자를 발견하는데 그 안에 있던 그 책을 통해 브롱코 헨리라는 존재를 알게 되었고 그의 취향 역시 짐작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을 놓고 보면 필의 강렬한 남자다운 카리스마와 공격성은 그의 억압된 욕망에 대한 반작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마지막 필이 눈을 감는 장면과 진실

마지막 결말에서 필은 탄저균에 의해 세상을 떠납니다. 굉장히 갑작스러워 보이는 엔딩이기도 합니다. 영화의 흐름에서 보면 이 사건의 전말은 모두 피터의 계획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파워 오브 도그의 마지막 장면에서 피터는 필이 만들었던 로프를 장갑을 끼고 만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밧줄을 침대 밑에 두고 조지와 로즈가 필의 장례식에서 돌아오는 모습을 창문 너머로 바라봅니다. 동시에 옅은 미소와 함께 영화가 마무리됩니다.

 

필은 자신의 내밀한 취향을 피터에게 들킨 후 두 사람의 거리는 가까워집니다. 필은 피터에게 말 타는 법을 가르치고 사냥을 나가기도 하죠. 이러한 일련의 흐름은 사실 그와 브랑코 사이를 답습하려는 장면입니다.

 

스승과 제자였던 브랑코와 필이 두 사람 간의 내밀한 사랑으로 번졌던 일련의 흐름을 필이 스승이 되고 피터가 제자로 시작하면서 그 흐름을 그대로 답습하려고 하였습니다. 물론 피터는 앞서 말했던 의도를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두 사람이 말을 타고 나간 날 필은 손에 상처를 입습니다. 그리고 피터의 엄마는 필에게 복수할 심산으로 그가 남겨둔 가죽을 모두 팔아버립니다. 그 가죽은 밧줄을 만들기 위해 필이 정말로 아껴둔 것이었습니다.

 

필은 가죽을 팔아버린 것에 대해 엄청나게 분노합니다. 이때 씻을 수 없는 마음의 상처를 입은 표정 연기가 정말 일품이었습니다. 피터는 이에 그가 가진 가죽을 주겠다고 합니다. 그리고 필은 감격해서 그의 인생이 앞으로는 잘 될 거라고 합니다.

 

사실 그 가죽은 피터가 탄저에 걸린 소의 가죽을 잘라놓은 것이었습니다. 손에 상처를 입었던 필은 그 감염된 가죽으로 끈을 만들다 눈을 감게 된 것이었습니다. 결국 모든 것은 피터의 계획대로였고 주인공은 세상을 떠나게 된 것이었죠.

 

3. 파워 오브 도그의 뜻

“난 엄마가 행복하기만을 바랬다. 엄마를 돕지 않으면 사내가 아니지.”

 

영화 파워 오브 도그의 첫 부분은 위와 같은 멘트로 시작합니다. 결국 이 영화는 피터가 어머니인 로즈를 지키지 위한 일련의 복수극이었던 것이었습니다.

 

파워 오브 도그의 의미는 영화의 중간 부분에서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와 같이 이는 성경에서 유래한 구절입니다. 핵심은 내 유일한 것, 즉 어머니를 위협에서 구하는 것입니다.

 

결국 파워 오브 도그의 의미는 나의 소중한 것을 위협하는 무언가입니다. 영화에서는 필이 이에 해당합니다. 핵심은 뒤의 구절 "나의 소중한 것을 구원하는 것"입니다.

 

영화는 궁극적으로 약자의 승리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피터는 자신의 승리를 오랜 성경 구절로부터 재현한 인물이며 그의 결단력과 지성이 잔인한 인물로부터 승리한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영화 파워 오브 도그가 뛰어난 것은 필의 잔인함에도 불구하고 영화 속에서의 표현은 그의 역할 그 이상을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그가 눈을 감게 된 일련의 과정은 그가 시대의 금기된 사랑을 염원하고 그것을 드러냈기 때문입니다.

 

주인공은 외로운 사람이었으며 그가 금기된 감정을 드러낸 것 덕분에 비극으로 끝이 난 것입니다. 필은 마지막까지 그가 완성한 밧줄을 피터에게 넘겨주려고 분투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결국 그의 밧줄을 놓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는 다른 의미에서 어떤 감정은 드러내는 것 혹은 그것의 연결을 갈망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를 파멸로 이끌 수 있다는 심도 있는 은유적 방식이기도 합니다.

반응형